AI 시대, 순수학문은 사라질까? 아니면 더 중요해질까?
현대 사회에서 순수학문(예술, 철학, 인문학 등)의 위기는 점점 심화되고 있습니다. 실용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지원이 줄어들고, 취업과 연결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많은 학생들이 기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미국의 코미디언 코난 오브라이언이 “순수예술과 철학을 전공하면 유일한 취업처는 고대 그리스뿐”이라고 농담한 것도 이런 현실을 반영합니다. 하지만 AI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러한 흐름이 바뀔 가능성도 있습니다.
인공지능은 수많은 분야에서 인간을 대체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논리적 문제 해결, 자동화된 창작 등 다양한 작업에서 AI는 이미 인간보다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그렇다면 AI가 순수학문까지 대체할 수 있을까요? 현재까지의 연구에 따르면, AI는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패턴을 찾고 예측하는 데는 강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거나 철학적 사유를 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AI는 셰익스피어 스타일의 글을 쓸 수 있지만, 셰익스피어 그 자체가 될 수는 없습니다. 이는 인간만이 가진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 능력이 AI로 대체될 수 없음을 시사합니다.
또한, AI가 발전할수록 순수학문의 중요성은 오히려 커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AI가 만들어낸 정보의 의미를 해석하고, 윤리적 기준을 설정하는 것은 결국 인간의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I가 창작한 예술이 ‘진짜 예술’로 인정받을 수 있는가? AI가 작성한 철학적 논문이 새로운 사상을 제시할 수 있는가? 이런 질문들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인문학적, 철학적 논의가 필요한 영역입니다.
이번 연구 주제는 ‘AI 시대의 순수학문의 역할과 가치’입니다. 인공지능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순수학문이 사라질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오히려 인간의 고유한 사고 능력이 더욱 중요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큐니버시티 연구원 여러분, AI와 순수학문의 관계를 탐구하고, 인공지능 시대에 인문학과 예술의 가치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깊이 연구한 후, 그 결과를 논문으로 출간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