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에 온 외계의 세 번째 손님, 3I/ATLAS는 무엇을 숨기고 있을까?
2017년 ‘오우무아무아’, 2019년 ‘보리소프’에 이어, 우주가 보내온 세 번째 손님이 등장했습니다. 2025년 7월, 칠레의 ATLAS 망원경이 포착한 ‘3I/ATLAS’는 태양의 중력에 묶이지 않는 성간 천체로, 우리 태양계 너머에서 날아온 방문자입니다. 직경 약 20km로 지금까지 발견된 성간 천체 중 가장 거대한 크기를 자랑하며, 궤도 이심률은 무려 6.30에 달합니다. 이는 지금까지 관측된 어떤 성간 천체보다 빠르고 극단적인 궤도를 의미합니다.
3I/ATLAS는 활동성 혜성으로 먼지와 가스로 둘러싸여 있으며, 외계 행성계의 화학 조성과 형성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소중한 단서입니다. 특히 해독 유전자처럼 우주 환경에 적응한 ‘성간 DNA’를 지닌 이 천체는, 다른 별 주위에서 어떤 화학 조건과 기원을 가지고 태어났는지를 보여주는 일종의 생물학적 샘플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과 지상 관측망이 총동원되어 이 성간 메시지를 해독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 주제는 “성간 천체 3I/ATLAS의 물리적 특성과 행성계 비교 분석”입니다. 이 천체의 조성, 궤도, 반사율 등을 분석함으로써 다른 항성계의 기후와 지질 구조, 생명 가능성까지 탐색할 수 있습니다. 성간 방문자들의 통계적 특성을 정리하는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큐니버시티 연구원 여러분, 3I/ATLAS가 보내온 우주의 편지를 해독하고 그 결과를 논문으로 출간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