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는 주인을 기억할까?
어떤 영화에서는 살인범의 장기를 이식받은 평범한 청년이 해산물을 혐오하던 식성이 변해 해산물을 좋아하게 되고, 성격까지 변해 연쇄 살인범이 되는 설정을 다룹니다. 이 청년과 그를 쫓는 경찰도 살인범의 장기를 이식받았는데, 둘 다 살아있는 살인범의 어머니에게 실제 자신의 어머니와 같은 정을 느낍니다. 이러한 설정은 ‘세포 기억설’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세포 기억설은 기증자의 성격이나 습관이 수혜자에게 전이될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이는 유사과학으로 취급받지만, 완전히 비과학으로만 볼 수 있을까요? 조혈모세포이식(골수이식)을 받은 사람이 과거에는 먹을 수 있던 음식에 알러지가 생겨 간장게장을 먹지 못하게 된 사례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세포 기억설에 다른 가능성이 있는지 연구해 보면 어떨까요?
세포 기억설의 과학적 가능성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들을 분석하고, 기증자와 수혜자 간의 유사한 변화들을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신경과학적, 면역학적 연구를 통해 세포와 조직이 어떻게 기억을 저장하고 전이할 수 있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도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될 것입니다.
이번 연구 주제는 세포 기억설의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검토하고, 장기 이식이 수혜자의 성격과 습관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기증자와 수혜자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장기 이식의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보다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입니다. 큐니버시티 연구원 여러분, 세포 기억설의 가능성을 밝혀내고 그 결과를 논문으로 출간해 보시기 바랍니다. 세포 기억설의 가능성.